
고용노동부는 2023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라 사업장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 지원을 위한 [위험성평가 특화점검] 등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고 합니다.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을 통해 올해 23년도 안전관리를 하심에 있어 어느분야를 중점적으로 관리를 할 지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날이 가면 갈수록 안전관리에 있어 현장보다는 페이퍼워크 업무가 날이 가면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 현장을 나갈 시간이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기란 쉽지 않을 거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안전, 보건관리자들은 고용노동부의 23년도 계획을 통해 사업장 안전관리 계획을 세우신다면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23년도 산업안전..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위험성 평가 제도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고 산업현장의 근로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ool Box Meeting)를 활성화하기 위해 가이드를 제작, 배포하였습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가이드를 제작하게 된 배경 등 그 의미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가이드 자료에 대해서 소개하고 자료 안내드리겠습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ool Box Meeting) 개요 1.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이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이란 작업 직전 작업 현장 근처에서 작업반장 등 관리감독자를 중심으로 작업자들이 모여 오늘의 작업 내용과 안전한 작업 방법에 대해 서로 확인하고 의논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고용노동부 건설산재예방정책과에 따르면 23년 1월 1일부터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내용이 달라집니다! (22년 8월 18일 개정「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시행) 건설업 신규 근로자에게 실제 현장의 위험요인과 예방조치, 근로자의 권리, 의무 중심으로 교육을 제공합니다. 사업주는 건설 일용근로자를 채용할 때 근로자로 하여금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2조) 뭐니뭐니해도 근로현장에서 가장 안전사고가 많은 업종이 건설업종입니다. 그 중에서도 중소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요. 아래는 중소건설현장(1~50억) 주요 사망사고 위험요인에 따른 재해자 통계자료 입니다. 기초안전보건교육 내용 개편 건설 일용근로자의 효과적 산재 예방을 위한 근로자 중심 교육을..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현장 안전관리를 하다보면 시공사에서 적절하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 원청이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적정하게 계상을 해주고 있는지 한번쯤은 생각해보셨을 겁니다. 저도 역시 최전방에서 안전관리를 할 당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꽤나 골치가 아팠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께 가장 최신화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과 안전보건관리비 해설집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22년 6월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제작하여 배포해준 자료입니다.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일부개정(22년 6월) ✅개정 이유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건설공사 사업주의 적극적인 산업..